지난 10월에는 중앙모임과 인연이 있는 16개 복지 시설들에 하반기 물품 후원이 이뤄졌습니다.
구체적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번호 | 시설명 | 구분 | 후원 품목 | 금액(원) | 인원(명) |
1 | 송암동산 | 보육 시설 | MP3 3개, 스포츠양말, 핸드크림 | 481,900 | 남32, 여21 |
2 | 선재동자원 | 축구 유니폼(15명분) | 460,000 | 남29, 여11 | |
3 | 호암사 | 운동복 하의(7개), 슬리퍼 | 213,800 | 남11, 여5 | |
4 | 진인선원 | 노인 시설 | 샴푸, 바디로션, 복지시설용 기저귀 | 495,000 | 90 |
5 | 묘희원 | 두루마리 휴지 | 580,000 | 85 | |
6 | 서울시립노인요양원 | 화장품(스킨로션) | 652,400 | 남24, 여44 | |
7 | 진각치매단기보호센터 | 바디로션, 복지시설용 기저귀 | 210,000 | 15 | |
8 | 지게의 집 | 장애인시설 | 여자 운동화(10켤레) | 185,000 | 남22, 여10 |
9 | 엠마우스 | 잠옷 7벌 | 175,000 | 여18 | |
10 | 승가원 자비복지타운 | 이천쌀 20포, 복지시설용 기저귀 | 1,508,000 | 180 | |
11 | 보현의 집(영등포) | 노숙인시설 | 내복(하의) 400개 | 1,431,500 | 남300 |
12 | 보현의 집(용산) | 남60 | |||
13 | 보현의 집(종로) | 남15 | |||
14 | 화엄동산 | 법정 스님 도서 | 94,500 | 여15 | |
15 | 월곡청소년센터 | 이용 시설 | 디지털 카메라 1개 | 422,750 | 약 100 |
16 | 서울노인복지센터 | 특식비 지원 | 700,000 | 약 2,000 |
8,000,000원의 행사 예산 중 총 7,715,950원을 집행하였고, 맑고 향기롭게 근본도량인 길상사도 후원 물품을 보태주어 내복, 내의, 칫솔, 치약, 비누, 수건 등을 각 시설별로 분배하였습니다.
길상사가 보시한 후원품은 화엄동산, 호암사, 선재동자원, 보현의 집 등을 비롯해 주로 생활필수품에 대한 수요가 많은 시설들에 요긴하게 전달되었습니다.
또, 김수연 회원님이 보내주신 어린이 도서 5권은 월곡청소년센터에, 최상범 회원님이 보내주신 일회용 종이팬티 12박스도 각 노인시설에 기증하였습니다.
16개 복지시설 대부분은 종사자의 임금과 대상자의 기본적인 의식주 비용을 정부 보조금에 의존해서 빠듯하게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시설 관리비용에 있어서는 만성적인 어려움을 호소합니다. 난방비, 전기료, 수도세, 시설 유지 및 보수비용에 대해서는 외부의 관심이 모아지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화엄동산은 그룹홈 건물 구입에 대한 대출 이자를 계속 갚아가고 있는 중이고, 호암사와 선재동자원은 개인이 운영하는 비인가 신고시설이기 때문에 전체 예산에서 국고 보조의 비중은 10% 정도에 불과한 실정입니다. 화재로 전소되었다가 신축한 바 있는 선재동자원은 은행 부채까지 안고 있습니다.
프로그램 운영에 늘 재정적 압박을 절감하고 있는 월곡청소년센터, 천주교 시설인 엠마우스나 기독교 시설인 지게의 집에 비하면 이제야 막 재활 프로그램에 착수하기 시작한 신생시설 승가원 자비복지타운은 여전히 많은 후원을 기다리고 있는 중입니다. 노인요양보험제도의 도입으로 복지서비스가 거래의 대상이 되고 있는 환경 변화 속에서도 사회복지시설 내의 삶의 질이란 여전히 실험 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수혜자가 한정적인 시설복지에 비해, 재가복지의 영역은 매일 35명이 자살하는 우리 사회의 또다른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체로금풍의 계절, 11월. 다 떠나간 것은 아닌 달.
시민 선객(禪客)들의 방부를 기다리고 있는 16개 사회복지시설을 첨부파일(물품후원시설안내)에 올립니다.
감사합니다.
송암동산 후원물품
송암동산에 후원한 MP3
월곡청소년센터 후원물품
선재동자원의 축구 코치 곽성민 군
보현의 집 후원물품
보현의 집에 후원한 남자 내복 69개 (길상사 보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