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스님 후원하기 나의후원

대구

    • 11-01-27

    반생명적인 살처분, 생매장을 반대한다. (자료 참조)

본문

동영상을 play 한 후 화면을 더블클릭하면 큰 화면으로 볼 수 있습니다.

(동영상 제작: 맑고 향기롭게 / 사진협조: 재가연대)

2010년 11월 28일 경북 안동에서 의심신고가 접수된 이후 구제역 60일째.

정부정책에 따라 4,600여가구에 280여만 마리의 소, 돼지 그리고 닭등의 가금류들이

우리나라 전역에서 싹쓸이 살처분을 당하고 있고,

그 중 돼지와 닭들은 살아있는 채로 땅에 파 묻어 버리는,

말 그대로 생매장을 하고 있습니다

살아있는 동물들을 생매장하는 경우, 살아있는 동물들이 땅구덩이의 비닐 등을 찢어

구제역 바이러스에 오염된 침출수가 인근 지하수나 농업용수, 식수 등을 2차 오염시키는 등

환경오염과 주민 생존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들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구제역 살처분현장에 강제동원된 공무원, 군인, 인부들은 살아있는 동물들을 땅속에

묻어서 죽여야 하는 충격과 상처로 실어증, 우울증 등 정신적 장애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생매장으로 인한 환경피해, 인간피해를 막아야 합니다.

인간이 깨끗하게 살고자 대량의 살상을 자행하는 것은

또 하나의 지구가족인 동물에 대한 인간의 오만이자 죄악입니다.

인간들의 이기적인 욕심이 이제는 자신들의 생명마저 위협할 지경이 되었습니다.

자연의 오염, 환경의 파괴로 인하여 오늘날 지구는중병을 앓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지혜로운 선택을 해야 합니다.

-----------------------------------------------------------------------------

현재 여러기사의 내용과 인터넷 백과사전 글을 종합해 보았을 때 구제역에 감염되지 않은 가축까지 모두 살처분 하는 현재의 정책은 아래와 같은 이유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1. 구제역에 감염된 동물도 1~2주 정도 지나면 자기 면역력이 생겨 스스로 낫기도 한다.

2. 일본을 비롯한 다수의 국가에서는 구제역 감염 동물만 선별적으로 살처분 하고 후진국에서는 식용으로 먹는 경우도 많다.

3. 우리나라의 무차별 살처분식의 구제역 방역은 국제수역사무국(OIE)로부터 인정받은 구제역 청정지역의 지위를 계속 인정받기 위한 대책이다.

(이미 백신을 놓기 시작했기 때문에 구제역 청정국가에만 해당되는 정책은 수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4. 살처분 가축의 매몰은 침출수 유출로 환경오염은 물론이고 2차 바이러스 확산의 위험성도 높아진다.

구제역이 많이 번지지않았을 때, 구제역을 잡기위한 초기대응으로는

농장의 가축을 모두 살처분이 최선인 것을 알겠습니다.

하지만, 이미 가축의 20%가 구제역 때문에 살처분된, 이 시점에서도 그 방법이 최선인 것 인지는 다시한번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집단적인 살처분에 대한 제동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무차별적인 구제역 발생농가 가축 살처분에 제동이 걸려야 하는 시점입니다.

구제역으로 인해 살처분한 가축의 수가 전체 가축의 20%를 넘어서고 있습니다.

이미 몇몇의 시, 군 지역의 축산업은 붕괴되는 지경에 이르렀고,

작은 소도시 안에 있는 축산 농가들의 대부분의 의심신고가 끊이질 않는 곳도 있습니다.

이미 겉잡을 수 없을 정도로 많은 곳에서 의심 신고가 이루어지고, 또한 양성판정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대로 가다가는 국산 돼지. 그리고 한우가 씨가 말라버릴 지경입니다.

하지만,

3000여 마리의 돼지를 사육하고 있는 농가에서

구제역 의심증상을 보이는 돼지는 3-5마리도 채 되지 않는 다는 것을 알고 계십니까?

5마리가 증상을 보이고 있다고 해서, 하루아침에 전 농장에 구제역이 퍼지는 것도 아니고,

다른 돼지들은 모두 사료도 잘 먹고 건강한 상태라는 것이 문제이지요.

특히나 돼지 농가는 전체마리수의 10%에도 미치지 못하는 마리수에 대하여

극히 부분적인 백신 접종이 이루어 졌습니다.

(저희 농장의 경우 극히 일부인 200마리 분량의 백신만이 배당되었습니다.)

따라서

현재 구제역 증상을 보이는 개채수가 있다고 하더라도,

항체를 형성하고 있는 중인 돼지,

이미 항체를 형성하고 있는 돼지, 구제역에 걸리지 않은 돼지들 또한 함께 있는 것입니다.

예방적으로 집단 살처분을 하는 시기는 이미 지나갔습니다.

한 도시내에서 수십 곳의 농가에서 의심신고가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이기에

이제는

선별적인 살처분,

구제역 의심증상을 보이는 가축에 대하여 우선적인 살처분을 하고

단계적으로 그 호전증상이나 이후 추이를 지켜보아야 하는 때입니다.

단계적인 살처분이 필요합니다.

전 가축의 집단생매장은 중지되어야 합니다.

전염병에 의하여 목숨을 잃은 가축수보다, 함께 매몰당하는 가축수가 수백배는 넘는 숫자입니다.

일정 기간을 두고 단계적으로, 선별적인 살처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무자비한 가축 대량 살처분에 제동을 걸어야 하는 때입니다.

지금 최선의 대책이 무엇인지. 다시한번 생각해 보는 것이 필요할 때입니다.

무조건적인 집단 생매장이 아니라 부분적인 선별적인,

단계적인 살처분, 그리고 대응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대책을 세워야 합니다.

-------------------------------------------------------------------

전문가의 의견과 관련 기사입니다.


구제역과 가축 생명권


김응철 / 논설위원ㆍ중앙승가대 교수

소와 돼지를 비롯하여 우제류 동물들에게 급성으로 전염되는 구제역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현재 23개 시군에서 약 45만여 마리의 가축이 도살 후 매몰처리 되었다.

이로 인해 전국의 축산 농가들이 경제적 손실은 말할 것도 없고, 매몰을 담당하는 공무원들과 농민들의 정신적 고통도 극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동물에서 동물로 전염되지만 사람에게는 전염되지는 않는다.

또한 구제역에 감염된 동물도 1~2주 정도 지나면 자기 면역력이 생겨 스스로 낫기도 한다.

성장한 소의 구제역 폐사율은 5%이내이고, 돼지는 전염력은 크지만 소보다 내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농가에 구제역이 발생하였을 경우 소는 반경 500m, 돼지는 2Km 내의 모든 우제류를 살처분 하는 국가는 많지 않다.

일본을 비롯한 다수의 국가에서는 구제역 감염 동물만 선별적으로 살처분 하고

후진국에서는 식용으로 먹는 경우도 많다.

현재 우리나라의 구제역 방역은 국제수역사무국(OIE)로부터 인정받은

구제역 청정지역의 지위를 계속 인정받기 위한 대책이다.

이로 인해 감염되지도 않은 동물들까지 모두 학살되는 비극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사망 확율이 낮기 때문에 자연 방목 상태에서 구제역은 심각한 병이 아니다. 그러나 인간의 탐욕 때문에 공

장형 동물농장이 확산되면서 위험천만한 질병으로 인식된 것이다. 구제역 발생 국가는 식육 수출이 봉쇄되

기 때문이다. 살처분으로 구제역 확산을 막지 못하자 정부는 뒤늦게 예방백신 접종을 결정하였다.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방향전환이다.

가능하면 식육을 금하도록 한 부처님의 가르침은 자비심으로 생명존중의 가치관을 실천하기 위함이다.

구제역에 감염되지 않은 가축은 물론이고 감염된 경우라도 소중한 하나의 생명체이다.

또한 살처분 가축의 매몰은 침출수 유출로 환경오염은 물론이고

2차 바이러스 확산의 위험성도 높아진다.

따라서 수출을 유지하기 위해서 행하고 있는 무자비한 가축 도살을 중지하고 보다

지혜롭고 현명한 대책을 찾아야 할 때이다.


8727815e414bcde65a29b9f997f2a129_1669868086_1832.jpg
8727815e414bcde65a29b9f997f2a129_1669868086_4179.jpg
---------------------------------------------------------

돼지 3만 3천 900여 마리 중 10마리가 구제역 양성 판정을 받았다는 이유로 '가축 살처분' 대상이 되었으니 하늘이 무너진 것 같을 것이다. 보다 과학적인 방법으로 선별하여 살처분 대상을 선정할 수는 없는 것인가. 무차별적으로 생명을 앗아간 집단살처분 행위가 과연 구제역을 영구히 막아내는 방법이란 말인가. 살처분 해야 할 대상자라면 이에 따른 보상은 충분해야 되지 않겠는가.

역지사지로 생각해 보니 탁상행정에 대한 문제점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무차별한 가축 살처분은 구제역 해결을 위한 능사가 아니다. 무차별적인 집단 살처분은 구제역 예방의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가 없다고 생각한다.

- 호남매일신문 편집 논설위원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