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맑고향기롭게 2023년 1월호

  • «맑고 향기롭게»는
    가난한 절 길상사와
    이 땅의 텅 빈 사람들에게
    법정 스님이 보내는 메시지입니다.

    덕조 사진
  • 1. 시절 인연

    눈 고장에서

    2. 법정 스님 편지

    눈이 내리네

    3. 다시 만나는 법정 스님

    어떤 것이 진정한 불교인지 1

    4. 법정 스님 따라 하기

    대장장이 춘다 1

    5. 선재동자와 함께 떠나는 선지식 여행

    복덕을 모으는 행

    6. 다실에서 / 이해인 수녀의 시

    시간의 선물

    7. 맑고 향기롭게 사는 사람들

    맑고 향기롭게와 길상사 소식

1. 시절 인연눈 고장에서

며칠째 눈에 갇혀 바깥출입을 못하고 있다. 남쪽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울 만큼 무지무지하게 눈이 내리고, 내리는 양만큼 그대로 쌓인다. 눈 구경이란 한가한 사람들이 할 일이고, 눈 속에 묻혀서 사는 사람들에게는 불편한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우선 길이 막히니 나갈 수도 없고 또한 돌아올 수도 없다. 허리께나 어깨 높이로 쌓인 눈을 뚫고 나갈 엄두가 나지 않는다. 나무들도 잔뜩 눈을 뒤집어쓰고 있다. 이따금 바람이 지나가면 나무에 쌓인 눈이 부옇게 눈보라를 일으키며 무너져 내린다. 눈 쌓인 산은 온통 깊은 침묵 속에 잠겨 있다.
그런 가운데서도 시냇물만은 두터운 얼음장 속에서 쉬지 않고 흐른다. 세월이 잠시도 멈추지 않고 어디론지 사라져 가듯이. 얼음장 속으로 차갑게 흐르는 한겨울의 이 시냇물 소리는 듣는 마음을 오히려 따뜻하게 한다.
요즘 나는 고립孤立이라는 말을 이모저모로 생각한다. 어떤 상황에서든 외부와 소통이 단절되면 공간적으로는 그대로 고립 상태다.
그러나 정신적으로 여유 있는 자신의 의식 세계를 지닌 사람들에게는 설사 외떨어진 섬에서 산다 할지라도 고립감을 느끼지 않을 것이다. 그에게는 자신의 세계가 구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고독과 고립은 비슷한 말 같지만 엄밀히 살펴보면 전혀 다른 정신 상태다. 고독은 좋은 것이지만 고립은 좋은 것이 못 된다.
고독은 때때로 사람의 영혼을 맑힌다. 고독을 의식하지 않는 사람은 그만큼 무디어 있거나 자신의 삶에 무감각하다. 고립은 말 그대로 이웃과 어울리지 못하고 외톨이로 처진 상태를 가리킨다.
여럿이서 복잡하게 얽혀 살아가는 직장이나 아파트 단지 같은 데서, 공간적으로는 이웃과 함께 있으면서도 실제로는 고립된 경우가 얼마나 많은가. 그래서 고립은 좋지 않은 것이다. 그 고립은 소외감을 동반하기 때문에 건전한 정서를 이룰 수 없다.
눈 고장에서 이 겨울을 나면서 문득문득 생각하는 것은, 문화가 형성되는 데는 인문 사회적인 환경 못지않게 자연환경의 영향이 크겠다는 느낌이다. 살기 불편하고 교통 통신이 두절된 상태에서 창조의 자극이 없으면 생동하는 세계로부터 고립되게 마련이다. 그러나 우리가 또 다른 입장에서 오늘날 우리들의 삶을 되돌아볼 때, 닳고 지쳐 시들한 일상의 범속한 삶에서 벗어나려면 외부 세계와 단절된 불편한 자연환경이 도리어 새로운 출구를 열어 주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오늘날 우리들은 편리한 것에만 너무 길들여졌다. 그래서 조금만 불편해도 그걸 참으며 이겨 내지 못한다. 그만큼 나약해져서 의지력과 창의력이 시든 것이다. 때로는 불편한 환경에 자신을 투신해 봄으로써 잠재된 의지력과 창의력이 움터 나와 삶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도 있다.
우리들의 인생이란 누구를 막론하고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새로운 실험과 시도를 통해서 그 가능성을 꽃피울 수 있어야 한다.

배고파 밥을 먹으니
밥맛이 좋고
자고 일어나 차를 마시니
그 맛이 더욱 향기롭다
외떨어져 사니
문 두드리는 사람 없고
빈집에 부처님과 함께 지내니
근심 걱정이 없네.

고려 시대 원감圓鑑 충지沖止 스님의 글이다. 나는 요즘 이 시를 자주 음미하고 있다.
우리는 습관적으로 음식을 먹는 수가 있다. 배가 고프지 않으면서도 밥을 먹고, 잠이 오지 않는데도 억지로 잠을 자려고 한다. 그 밖에 다른 일도 전혀 마음에는 없는데 습관적으로 그 일에 손을 댄다. 이렇게 되면 그의 삶은 자연의 리듬을 거스르게 된다.
사람들에게 시달린 나는 이 산중에 들어와 살게 되면서 무엇보다도 불쑥불쑥 찾아오는 사람이 없어 좋다. 내 얼굴 표정에 어떤 변화가 있다면, 짜증스러워하던 그 그림자가 사라져서일 것이다. 앞에 든 시에서 ‘외떨어져 사니 문 두드리는 사람 없고’라는 구절이 나는 가장 마음에 든다.
이 오두막에는 작은 내 원불願佛이 모셔져 있다. 불단에 향을 사르면서 예불을 드리고 좌선을 하고 글을 읽고 혹은 쓴다. 그러면서 불법을 만나 출가 수행승이 된 인연에 늘 고마워한다. 말하자면 부처님 같은 어른의 ‘백’이 있으니 다행하고 든든하다.

이제는 새해 인사를 드려야겠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복은 어느 누가 주는 것이 아니라 내가 지어서 내가 받는 것, 그렇다면 인사말을 이렇게 고쳐 해야겠네,
새해에는 복을 많이 지으십시오!

1993

  • 덕조 사진
  • 2. 법정 스님 편지

    눈이 내리네.
    납덩이처럼 답답할 숨 막히는
    이 하늘 아래 눈이 내리네.
    흰 눈에 덮인 山 하늘은 이렇듯 아름답고 포근한데
    사람들의 마음은 얼어붙어 풀릴 줄 모르네.
    눈이 내리네.
    노가지나무 울타리에도
    잠명등 위에도
    우물 길에도
    그리고 연못에도 눈이 내리네.
    눈이 내리네.
    먼 하늘가에도
    새 아침 <月光>을 듣는 내 마음에도
    눈이 내려 쌓이네.
    눈이 내리네.
    내리네.
    내리네.
    내려 쌓이네.
    내리네
    내리네
    내리네
    .
    .
    .
    .

    * 이 편지는 법정 스님이 1973년 반야화에게 보내신 것입니다.

3. 다시 만나는 법정 스님어떤 것이 진정한 불교인지 1

이 글은 법정 스님께서 2002년 2월 26일에 하신 법문을 정리한 것입니다. 이 법문은 어떤 책으로도 출간되지 않았습니다.


오늘은 100일 기도 회향이자 겨울 안거 해제 날입니다.
기도들 잘하셨어요?
기도 잘 하신 분들은 회향을 해야 해요. 그동안 기도에서 쌓아온 공덕을 내 이웃에게 돌리는 날입니다.
그러니까 진짜 기도는 오늘부터예요.
기도 한 사람하고 안 한 사람은 다릅니다.
오늘부터 이웃에게 어떤 마음을 가지고 대하는가에서 기도를 잘했는지 못했는지 판가름 납니다. 그냥 동참하는 것으로만 끝난다면 기도의 공덕이 없습니다.
부처님 앞에서 닦은 공덕을 일상생활에서 이웃에게 돌려보내야 됩니다.

80살 먹어 출가한 사람이 있어요. 인도에서 있었던 일입니다. 80살에 출가한다는 건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죠. 공동묘지나 화장터 갈 사람이 스님 되겠다고 절에 들어와요. 곁에서 모두 비웃어요. 다 늙어 가지고 출가하겠다니 당치 않은 짓이라는 겁니다.
출가 수행은 절에서 밥만 먹고 지내는 것이 아니라 좌선에 전념해야 되고, 또 부지런히 경전 독서를 해야 되는데 그러기에는 너무 늦었다는 거예요.
당신은 너무 늦었어, 공연히 청정한 승단에 들어가 시줏밥이나 축내려고 그럽니까? 이렇게 곁에서들 때늦은 출가에 대해 말이 많습니다. 이 말을 듣고 80 노인은 크게 분발해요. 그래서 다음과 같은 서원을 세웁니다.
“내가 만약 삼장三藏을 통달하지 못하고 세속의 욕망을 끊지 못하거나 신통神通을 얻지 못한다면 단 한순간이라도 옆구리를 땅에 대고 눕지 않으리라.”
이렇게 굳은 맹세를 하고 밤낮을 가리지 않고 영명정진합니다.
이와 같이 3년을 닦은 뒤 마침내 크게 깨달아요.
삼장에 통달하고 삼계三界,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의 욕망을 말끔히 끊어서 열반의 경지에 듭니다. 그리고 부처님과 아라한들이 지닌 신통력을 지니게 됩니다.
어두운 밤에 경전을 들면 손가락 끝에서 빛을 발했대요. 그래서 경전을 읽고 그랬대요.
세상에서는 그를 존경해서 협존자脇尊者라고 일컫습니다. 이분이 33조사 가운데 열 번째 조사예요.

분발하고 선한 일을 통해서 사람은 새롭게 태어날 수 있습니다. 육신의 나이에 구애받지 않고 새롭게 시작할 수 있어요.
육신의 나이에는 세월이 붙지만 영혼은 세월이 없습니다. 영혼에는 나이가 없어요. 아이고 내가 70, 80에 죽을 때가 다 됐는데 이제 뭘 시작하겠느냐 이렇게 낙담하지 마세요.
지금 시작한다 하더라도 내생의 준비가 되는 겁니다. 지금 이 업이 내생에까지 연장됩니다. 내생에 가서 새롭게 익히려면 어려워요. 또 내생에서도 불법을 만날지 안 만날지 알 수 없습니다. 뭐든지 좋은 일이라면 육신의 나이에 집착하지 말고 지금부터 새롭게 시작해야 합니다. 그렇게 되면 결과가 저절로 꽃피고 열매 맺게 됩니다.

당나라 때 부처의 화신이라고 불린 조주 스님은 17살 때 출가를 해요. 그 당시 큰 스님인 남천 스님 문하에서 크게 깨쳐서 40년 동안 그 스승을 모시고 지냅니다.
대단한 저력이에요. 지금은 중 되어 가지고 한 2~3년 있다가 다른 데로 도망가고 그러는데 40년 동안 스승을 모신다니 말이에요.
스승이 돌아가시자 조주 스님은 61살 때 비로소 행각에 나서요.
행각이라는 것은 여기저기 다니면서 선지식을 만나서 또 배우는 일입니다. 깨달은 후에도 40년 동안 닦았다는 거예요.
물병과 지팡이를 들고 여러 곳의 선지식을 찾아다녀요. 이때 조주 스님이 이렇게 말합니다.
“일곱 살 먹은 어린 동자라도 나보다 앞섰다면 그에게서 배우리라, 100살 먹은 노인일지라도 나보다 뒤떨어졌다면 그를 가르칠 것이다.”
조주 스님은 80살에 비로소 조그마한 절 주지를 하게 돼요. 조주는 땅 이름입니다. 조주 동쪽 관음원이라는 아주 자그마한 절입니다. 이 절은 너무 가난해서 앞에도 뒤에도 아무것도 없이 달랑 집 한 채뿐이었어요.
조주 스님은 120살에 돌아가셨는데 40년 동안 여기서 많은 교화를 합니다.
조주 스님 하면 지금까지도 우리 선원의 화두로서 가장 큰 영향을 끼치고 있지 않습니까?

(다음 호에 이어집니다.)

4. 법정 스님 따라 하기대장장이 춘다 1

83 대장장이네 아들 춘다가 말했다.
“위대하고 지혜로운 성인, 눈을 뜬 어른, 진리의 주인, 집착을 떠난 분, 최고의 인간, 뛰어난 마부께 저는 묻겠습니다. 세상에는 어떤 수행자들이 있는지 말씀해 주십시오.”
(*춘다는 부처님 당시 부유했던 금속 세공인이다.)

84 스승은 대답하셨다.
“춘다여, 네 종류의 수행자가 있고, 다섯 번째는 없느니라. 지금 그 물음에 답하겠다. ‘도의 승리자’ ‘도를 말하는 사람’ ‘도에 의해 사는 사람’ 그리고 ‘도를 더럽히는 자’이니라.”

85 대장장이 춘다가 말했다.
“눈을 뜬 사람은 누구를 가리켜 ‘도의 승리자’라 부르십니까? ‘도를 말하는 사람’은 어째서 다른 사람과 견줄 수 없으며, ‘도에 의해 산다’는 것은 무슨 뜻인지 설명해 주십시오. 그리고 ‘도를 더럽히는 자’에 대해서도 말씀해 주십시오.

86 “의혹을 넘어서고 고뇌를 이기고 열반을 즐기며, 탐욕을 버리고 신들을 포함한 온 세계를 이끄는 사람, 이런 사람을 ‘도의 승리자’라고 눈을 뜬 사람들은 말한다.

87 세상에서 가장 으뜸가는 것을 가장 으뜸가는 것으로 알고 법을 설하고 판별하는 사람, 의혹을 버리고 동요하지 않는 성인을 수행자들 중에서 둘째로 ‘도를 말하는 사람’이라 부른다.

88 잘 설명된 진리의 말씀인 도에 의지해 살면서 스스로 절제하고, 깊이 생각해 잘못된 말을 하지 않는 사람을 수행자들 중에서 셋째로 ‘도에 의해 사는 사람’이라 부른다.

89 맹세한 계율을 잘 지키는 체하지만, 고집 세고 가문을 더럽히며, 오만하고 남을 속이며, 자제력 없고 말 많고 그러면서도 잘난 체하는 사람을 가리켜 ‘도를 더럽히는 자’라고 한다.

90 학식이 있고 현명한 재가在家 수행자는, ‘그들 네 종류의 수행자는 다 이와 같다’고 알아, 그들을 통찰하여 그와 같음을 보더라도 믿음이 변하지 않는다. 그는 더럽혀진 것과 더럽혀지지 않은 것, 깨끗한 이와 깨끗하지 않은 자를 혼동할 염려가 없기 때문이다.

〔강론〕
춘다는 한문으로 순타淳陀·준타准陀·주나周那 등으로 음역되어 있다. 그는 부처님께 최후로 공양을 올린 사람으로 불타의 전기에도 나오는 인물이다. 여기서는 그 상황 설명이 생략되어 있지만, 팔리본 《대열반경》과 부처님의 생애를 비교적 자세히 다루고 있는 《장아함경長阿含經》 안에 든 《유행경遊行經》에는 그 상황이 소개되어 있다.
여기에 의하면, 부처님이 많은 수행승들과 함께 파바에 있는 대장장이의 아들 춘다 소유의 망고나무 숲에 머물게 된다. 이때 춘다는 부처님을 뵙고 다음 날 부처님과 수행승들을 공양에 초대하는데 이 공양 끝에 4종의 사문(수행승)에 대한 법문이 있었던 것으로 상황이 설명되어 있다.
춘다의 집안은 대대로 대장장이였던 것 같다. 그래서 ‘대장장이네 아들 춘다’로 불린 것이다. 요즘 말로 하자면 금속 세공金屬細工을 직업으로 삼은 것.
춘다가 부처님과 그의 제자들을 공양에 초대한 것으로 보아 그만큼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당시 인도의 계급 사회에서는 대장장이나 금속세공인은 천업賤業으로 여겨졌다. 이런 그의 초대를 부처님은 선뜻 수락했다. 어느 때는 유녀遊女 암바팔리의 초대에 응하기도 했다. 여기서 우리는 주목할 만한 몇 가지 역사적인 특징을 엿볼 수 있다.
그당시 물질적으로 여유가 있었으면서도 사회적으로는 멸시를 받던 사람들이 새로운 정신적인 지도자를 찾게 되고, 불타 석가모니의 행동은 그 당시 계급의 두꺼운 벽을 헐어 버리려는 의지에 이어진 것이다.
그래서 계급 타파에 대한 다음과 같은 주장도 나오게 된다.

‘날 때부터 천한 사람이 되는 것은 아니다. 날 때부터 귀한 사람(바라문)이 되는 것도 아니다. 오로지 그 사람의 행위에 의해서 천한 사람도 될 수도 있고 귀한 사람도 될 수 있다.’
(《숫타니파타》 136;142)

(다음 호에 이어집니다.)

5. 선재동자와 함께 떠나는 선지식 여행복덕을 모으는 행

“나는 그들에게 위없는 보리심을 내게 했으니,
여래의 집에 나서 백법白法을 일어나게 하고
한량없는 바라밀에 편히 머물러
부처님의 열 가지 힘을 배웠다.
세간의 종자를 여의고 여래의 종자에 머물며,
생사의 바퀴를 버리고 바른 법륜을 굴리며,
삼악도를 없애고 바른 법에 머물러
보살들과 같이 모든 중생을 구호한다.
선남자여, 나는 마음대로 복덕이 나오는
장藏의 해탈문을 얻어 필요한 것은
다 소원대로 된다.
잠깐만 기다려라. 그대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거사가 이와 같이 말을 했을 때 한량없는 중생이 사방에서 모여 드는데, 종류가 각기 다르고 소원이 같지 않지만, 과거의 서원으로 말미암아 끝없는 중생이 모두 와서 자기의 소망대로 청구했다.
그때 거사가 잠깐 생각하면서 허공을 우러러보니, 한량없는 중생이 요구하는 것들이 허공에서 내려와 모든 대중의 뜻을 다 만족케 했다.
그리고 다시 갖가지 법을 설하니, 이른바 아름다운 법을 얻어 만족한 이에게는 복덕을 모으는 행을 말했다.
또한 가난을 여의는 행과 모든 법을 아는 행과 법으로 기쁘고 선정으로 즐거운 음식을 성취하는 행과 모든 거룩한 모습을 닦아 구족하는 행과 굴복하기 어려움을 일깨워 성취하는 행을 말했다.
또 위없는 음식을 잘 통달하는 행과 다함이 없는 큰 위덕의 힘을 성취해 마와 원수를 항복시키는 행을 설하고, 마실 것을 얻어 만족한 이에게는 법을 말해 생사에 대한 애착을 버리고 불법의 맛에 들어가게 했다.
여러 가지 좋은 맛을 본 이에게는 법을 설해 부처님의 뛰어난 모습을 얻게 하고, 수레를 얻어 만족한 이에게는 갖가지 법문을 설해 큰 수레〔大乘〕를 타게 하며, 의복을 얻어 만족한 이에게는 법을 설해 청정한 부끄러움의 옷과 여래의 청정한 모습을 얻게 했다.
이와 같이 모든 것을 만족케 한 뒤에 합당하게 법을 설하니 법문을 듣고는 모두 본고장으로 돌아갔다.
거사가 선재동자에게 이와 같은 보살의 불가사의한 해탈 경계를 보이고 나서 말했다.

“선남자여, 나는 다만 이 뜻대로 복덕을 내는
광해탈문을 알 뿐이다.
그러나 저 보살 마하살들은
보배 손을 성취해 시방의 국토를 두루 덮고,
자유자재한 힘으로 온갖 가재도구를 내린다.
중생이 있는 곳과
여래의 대중이 모인 도량에 가득해,
중생을 성숙시키고
부처님께 공양하는 일들을 내가 어떻게 알며
그 공덕과 자유자재한 신통의 힘을
어떻게 말하겠는가.
여기서 남쪽으로 가면
사자궁師子宮이라는 성이 있고,
거기 한 장자長者가 있으니
이름이 법보계法寶髻이다.
그대는 그에게 가서
‘보살이 어떻게 보살행을 배우며
어떻게 보살도를 닦느냐’고 물으라.”

선재는 환희에 넘쳐 공경과 존중으로 제자의 예를 다하고 생각했다.

‘이 거사님이 나를 호념護念해
내가 지혜의 길을 얻었다.
그러니 선지식을 사랑하는 생각을 끊지 아니하고,
선지식을 존중하는 마음을 무너뜨리지 않고,
선지식의 가르침을 항상 따르고,
선지식의 말씀을 반드시 믿고,
선지식을 섬기는 마음을 항상 내리라.’

그러고는 그의 발에 엎드려 절하고 길을 떠났다.

(다음 호에 이어집니다.)

6. 다실에서 / 이해인 수녀의 시시간의 선물

내가 살아 있기에
새롭게 만나는 시간의 얼굴

오늘도 나와 함께 일어나
초록빛 새 옷을 입고
활짝 웃고 있네요

하루를 시작하며
세수하는 나의 얼굴
아침 인사를 나누는
식구들의 목소리에도

길을 나서는
나의 신발 위에도
시간은 가만히 앉아
어서 사랑하라고
나를 재촉하네요

살아서 나를 따라오는
시간들이 이렇게
가슴 뛰는 선물임을 몰랐네요

«맑고 향기롭게»는 이렇게 만듭니다. 법정 스님이 쓰신 글, 써 두셨던 글, 하신 말씀, 쓰던 물건을 전합니다. 덕조 스님이 간직한 법정 스님의 미발표 원고를 세상에서 처음 싣습니다. 달마다 새 글을 올려 맑고 향기롭게 활동이 더욱 활발해지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법정 스님 당부를 지켜 종이를 눈곱만큼도 버리지 않는 제본, 곧 국산 아르테160그램 용지를 9번 접어서 20쪽 서첩으로 제작합니다. 화학풀을 쓰지 않고, 화학 약품 코팅을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잘 젖고 잘 찢어지고 빨리 썩습니다. 한 달 동안 세워 놓고 보고 읽고 만질 수 있습니다. 우리 모임과 뜻을 함께하는 지식을만드는지식 출판사가 제작 비용을 보탭니다. 월간 «맑고 향기롭게»는 꼭 할 말만 싣고 돈을 아끼면서 환경을 지킵니다.

2023년 1월 1일 발행, 통권 335호, 신고번호 성북라00004호, 1999년 6월 23일 등록. 발행 편집인 / 덕조, 기획 편집 디자인 / 지식을만드는지식, 발행처 / 맑고 향기롭게 모임. 주소 서울시 성북구 선잠로 5길 68(성북동 323번지) 길상사 내. 전화 02 741 4696 팩스 02 741 4698, 인쇄 / 영신사. 맑고 향기롭게 대구 모임 053 753 8883, 경남 모임 055 266 0170, 광주 모임 062 236 3129,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clean94.or.kr 전자우편 clean94@hanmail.net. 길상사는 맑고 향기롭게 모임을 도우려고 법정 스님이 세운 절입니다. 전화 02 3672 5945 팩스 02 3672 5947 홈페이지 http://www.kilsangsa.or.kr 전자우편 kilsangsa@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