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스님 후원하기 나의후원

보도

    • 10-03-19

    법정 스님의 마음을 헤아려 본다 - 현길언 (서울신문 3.19)-

본문

[시론] 법정 스님의 마음을 헤아려 본다


현길언 소설가·‘본질과현상’ 발행인


소유욕의 굴레를 쓰고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무소유를 말하던 법정은 죽음의 문 앞에서 세상을 향해 마지막 반란을 일으켰다. 많은 독자들을 사로잡았던 그의 모든 저서를 절판할 것과 화려한 장례의식을 만류한 것이다. 세상을 향한 이 두 반란에서 우리는 죽음의 문 앞에서도 고통스러운 수행(修行)을 멈추지 않았던 그 삶의 치열성에 전율하지 않을 수 없다.


3b692357c6f7faf542ce406d5d7da3c1_1669790981_397.jpg
▲ 현길언 소설가·‘본질과현상’ 발행인


저서의 절판에 대해서 사람들은 그의 진심을 모르기에 설왕설래 말들이 많다.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던 그 많은 저서에 대해 왜 법정은 절판을 당부했을까? 그는 아마 생전에 물질적인 소유로부터는 자유로울 수 있었으나, 명예와 인기로부터 자유롭지 못 했다는 그 점에 대해서 괴로워했을지도 모른다. 더구나 그의 저서가 많이 팔리는 데 대해 부담을 가졌을 것이다. 최근에는 그가 좋아하여 읽은 책 목록이 공개되면서 화제를 만들기도 했다니 말이다.



저서의 절판은 자신의 언어에 대한 일대 반역이 아닐까 조심스럽게 생각해 본다. 지상에서 그의 모든 삶이 수행으로 통했던 법정으로서는 죽음 앞에서 자신의 언어에 대해 다시 생각했을 것이다. 중생들의 가슴을 울렸던 그 많은 언어와 그 언어를 낳게 한 사유가 죽음 앞에서 비로소 불완전하고 하찮음을 깨닫지 않았을까? 이렇게 바른 도(道)에 이르기 위한 그의 고행은 자신에 대한 철저한 부정으로 이어져서 죽음의 직전까지 계속되었을 것이다. 그래서 그는 그 모든 것을 부정함으로써 또 다른 도의 경지에 이르게 되지 않았을까?



그러한 그의 득도(得道)의 결정판은 간소한 장례의식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한국의 장례문화는 언제부터인가 정치화되면서 너무나 경박해졌다. 장례는 고인을 다른 세상으로 보내는 고별의식이다. 그런데 최근 우리의 주변에 일어났던 몇 분의 장례의식은 살아 있는 자들의 정치적인 의도에 의해 거추장스러워지면서 오히려 고인의 삶의 진정성을 배반하는 감이 없지 않았다. 법정은 살아 있을 때 그 장례의식이 정치화되고 있음을 보면서 자신의 장례도 잘못하다가는 저런 지경에 이를 것을 염려했을 것이다.



삼일장에 수의도 관도 없이 다비의 절차를 거치도록 당부했고, 심지어는 사리도 찾지 말라고 했다. 사리를 찾지 말라는 것은 득도를 위한 그의 고행 자체에 대한 정직한 성찰이면서 불교의 장례의식에 대한 일종의 반역이기도 하다. 그러함에도 종단에서도 고인의 뜻을 따라 그대로 시행했으니 천만다행이다. 세상으로부터 추앙을 받던 그의 장례의식을 중생들처럼 정치적으로 거행했다면, 아마 형식적으로 불교에 대한 세상의 인식이 잠시 상승했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이 얼마나 허망한 세욕임을 간파한 종단에서는 고인의 뜻을 따라주었다. 이 또한 어렵고 귀한 일이다. 간소하게 치러진 장례의식을 보면서 도에 이르기 위한 고인의 마지막 몸부림을 너무나 생생하게 만날 수 있으니 이 얼마나 소중한 일인가.



살아 있을 때에 세상을 향한 수많은 반란을 통해 도에 이르려고 애썼던 그는 죽음 앞에서도 그 일을 멈추지 않았다. 자신의 언어를 부정함으로써 삶에 대한 치열함과 정직함을 보여주었고, 빈손에 바랑 하나 짊어지고 다른 세계로 떠나는 그의 뒷모습에서 무소유를 읽게 하였다. 그는 정말 홀가분하게 빈손으로 찾아왔던 이 땅을 떠나 빈손으로 그 새로운 세계로 돌아갔다.



그의 많은 언어는 이 마지막 언어에서 다시 확인하고 있다. 비록 종이책으로 사람들에게 세상의 가치에 의해 읽혀지기를 거부한 법정의 몸짓은 너무 치열하기에 섬뜩하다. 이보다 더 생생한 언어가 어디 있겠는가. 그것은 소유욕에 불타는 중생이 ‘무소유’를 들었을 때 갖는 그 잔잔한 경의감에 비할 것이 아니다. 우리 주위에 현란하게 나불거리는 언어가 얼마나 많은가? 이제 우리는 그 ‘혀의 언어’를 넘어서 법정의 ‘몸의 언어’를 생각할 때가 되었다. 그는 자신의 언어를 거부함으로써 참으로 편하게 저 세계로 들어갈 수 있었을 것이다.


Ⅰ기사일자 : 2010-03-19Ⅰ